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농업기술정보

시험연구결과

항목명
생장조정제 처리에 의한 딸기 과실비대 촉진에 관한 연구
과제명
딸기 상품성 향상 연구
주관담당자
김운섭
작성일
2004-10-13 04:50
연구분야
채소
연구기간
1994 ~ 1995
조회수
2022
생장조절제 처리가 딸기의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시험결과 KT-30 1, 2ppm 처리구에서 보교조생 품종은 수확기가 2일 촉진 되었고, 8ppm 처리구에서 2일 지연되었으며, 정화방 1번 과의 과경은 KT-30 1, 2, 4ppm 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정화방의 2번과까지의 과중은 Cloxyfonac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가장 많이 비대되었으며 모든 처리에서 증가하 는 경향이 었다. 엽병장 생육 무처리에 비해 KT-30 처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8ppm에서 유의 차가 없었다. 여봉품종에서 화방당 착과 수는 Cloxyfonac 1ppm 처리에서 6.8개로 가장 많았으 며 KT-30 1, 8ppm 과 KT-30 4ppm + GA 10ppm 혼합처리에서 무처리보다 착과수가 많았다. 정화방의 과중은 KT-4 + GA 10ppm 처리에서 69g으로 무처리의 37g보다 32g이 증가되어 비대촉진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KT-30의 다른 약제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 해 볼때 약제 처리시기는 착과후 보다 개화기에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KT-30 처리농도는 1∼2ppm 농도가 적정 농도로 사료되며, GA를 혼합 처리하는 것이 과실비대 촉진 에 효과적이 라 사료된다.
만족도
10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