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목표 및 방향
목표 및 혁신전략
-
- 친환경 농업
- 무농약이상 재배면적(비율)증대
- 화학비료/ 농약 사용량 감축
- 혁신전략 : 친환경농업 마케팅 역량강화
- 실천수단
-
친환경농업 6차 산업화
- 1. 친환경농산물 유통·가공기반 구축
- 2. 학교·도시농업 활성화를 통한 상생기반 조성
- 3. 친환경 농산물 로컬푸드 운동 전개
- 4. 친환경농산물 안전성 검사시스템 구축
-
친환경농업 인프라 확충
- 5. 친환경 농산물 생산기반 확충
- 6. 농업환경 부하경감
- 7. 친환경 실천 농가 소득보전 및 시설개선
- 8. 친환경 축산, 임업, 수산업 육성
-
친환경리더 및 R&D육성
- 9. 친환경 농업조직 및 리더 육성
- 10. 친환경 농업 표준농법 개발·보급
-
-
-
- 쌀 산업
- 생산비 절감 등 소득향상으로 쌀산업 경쟁력 제고
- 혁신전략 : 쌀 품질 경쟁력 강화 및 RPC 유통 개선
- 실천수단
-
농업인
- 1. 수요자 중심의 고품질 쌀 생산
- 2. 수요자 중심의 고품질 쌀 생산
-
쌀산업
- 3. RPC를 거점으로 쌀유통 중심체 기능 강화
- 4. 수확 후 관리시설 확충, 원료곡 품질 유지
-
소비자
- 5. 파워 브랜드 쌀 마케팅 체계 구축
- 6. 쌀 품질 및 등급에 맞는 새로운 가격질서 형성
-
- 원예산업
- 주산지 중심의 채소류 특화단지 조성
- 과수 생산시설 현대화
- GAP 안전인삼 생산 기반 구축
- 혁신전략 : 주력품목별 맞춤형 육성으로 경쟁력 강화
- 실천수단
-
기반확충
- 1. 주산지 중심 채소류 특화단지 조성
- 2. 고품질 과실생산 현대화 기반구축
- 3. 안전인삼생산 기반 구축
-
경쟁력강화
- 4. 품질향상을 위한 원예산업 경쟁력 강화
- 5. 경영안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 6. 기능성 인삼제품 개발
-
마케팅
- 7. 원예작물 브랜드 육성
- 8. 과수 거점APC 건립 및 공동브랜드 통합 마케팅
- 9. 공동상표 GinsQ 홍보 및 해외마케팅 강화
혁신(신규) · 기존 정책(사업) 검토결과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혁신, 기존정책 검토결과
혁신, 기존정책 검토결과를 항목별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
합계 |
신규사업 |
기존사업 |
소계 |
확대 |
축소 |
유지 |
개선 |
일몰 |
계 |
66건 |
18 |
48 |
6 |
2 |
34 |
2 |
4 |
친환경농업 |
20 |
9 |
11 |
4 |
|
6 |
1 |
|
쌀산업 |
23 |
4 |
19 |
|
|
16 |
1 |
2 |
원예산업 |
23 |
5 |
18 |
2 |
2 |
12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