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알림마당

보도자료

제목
곤충산업 신성장 동력으로 성장한다
분류
분류없음
조회
1431
작성자
기술공보
작성일
2010-07-14 10:03 (수정일: 2010-07-14 10:03)
곤충산업 신성장 동력으로 성장한다 - 도농업기술원, 곤충산업 발전방안 세미나 많은 관심속에 열려 - 충청남도농업기술원(원장 손종록)은 14일 농업기술원 대강당에서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곤충산업에 대한 발전방안 세미나를 행정, 연구, 지도기관 등 관련공무원 70여명이 참석 많은 관심속에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녹색성장 산업으로 곤충중에서 우리 인간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거나 이용될수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가진 곤충자원을 이용한 신소득원 개발 가능성과 산업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곤충은 세계적으로 130만종이 서식하고 있어 전체 생물군의 70%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그중에서 인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종수는 1만5천종 정도가 알려져 있어 곤충은 지상최대의 미개발 자원이기도 하다. 최근 유용곤충에 대한 연구동향을 보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간 생물자원 확보와 더불어 곤충자원 확보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데 이유를 보면 유용곤충은 ▲친환경농업의 요체로서 화분매개, 천적, 환경정화 기능, ▲나비, 장수풍뎅이 등은 학습 애완용으로 대량 증식기술이 농가에 보급되어 신소득원 역할, ▲반딧불이 마을, 나비 농장, 곤충생태학습장 등 새로운 생태관광 자원화, ▲꽃무지, 사슴벌레, 장수풍뎅이 등 식·의약품 소재와 수출산업으로 부상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어 녹색성장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용곤충의 국내시장 규모는 1,070억원(’08)이나 이웃인 일본의 6조원에 비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로 볼수 있다. 이에따라 농림수산식품부는 ‘비전2020’을 통해 곤충산업을 2020년까지 7,000억원대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발표는 곤충산업 현황과 육성방안(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기술원 곤충산업과 최영철 과장), 유용곤충의 농가현장 활용과 발전 방안(주식회사 세실에이스 이기상 대표이사)을 주제로 발표가 이루어 졌는데 발표에서 최영철 곤충산업과장은 유용곤충 산업화를 위해서는 먼저 유용곤충의 탐색 분류 동정기술 보유, 체계화된 대량 안정사육 기술개발, 곤충유래 유용유전자 이용기술, 새로운 곤충시장(애완곤충, 어메니티자원, 곤충미생물 등) 창출 확대, 환경정화 곤충 개발 등을 위해서 연구인력, 시설, 기술 등 곤충연구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시군지자체공무원들은 국민소득 증대와 생활여건의 변화에 따른 학습·애완용, 곤충관련 축제소재, 친환경농업 활성화, 건강 보조식품으로써 활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동식물 먹이 등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관계공무원은 곤충산업을 육성·지원하여 농가소득 증대와 국민의 정서함양에 기여하기 위해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0년 2월 4일에 공포됨에 따라 충청남도에서도 곤충시장 선점을 위해 친환경 곤충산업 육성계획안을 수립하는 등 앞으로 곤충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의〕충남농업기술원 생물환경과 병리곤충담당 ☏ 041-330-6382
만족도
1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