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1. 소통광장
  2. 영농상담
  • 인쇄
영농상담
홈소통광장영농상담
소통광장

영농상담

제목
2210 연계 문의 처리완료
분류
기타
조회
7936
작성자
조**
작성일
2021-06-22 05:36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새벽이나 밤에 글을 쓰고, 낮에는 일을 하다보니, 전화가 좀 어려울 것 같아서 글을 씁니다. 
 그리고 전화보다 글이 더 나은 것 같기두 하구요. 일단 글로 정리하고 시간나면 다시 상세 문의를 위해 전화도 드릴게요.
 너무 질문사항이 많다보니, 양해 부탁드려요. 천천히 답변주셔도 괜찮습니다. 

 1. 농가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문의
 데이터 공유에 농가의 개인정보라서 동의가 필요하다구 하셨는데, 동의를 구하는 절차가 우선 궁금해요. 
 2. 충남농업기술원에서 수집하는 데이터 공유를 받기 위한 절차문의
 충남농업기술원의 데이터를 공유받으려면 정보공개청구를 해야 하나요? 민원신청을 해야 하나요?
 아니면 다른 절차가 있는 것인가요?
 3. 충남농업기술원이 투자해서 개인 농가에 설치한 데이터의 소유권 문의
 충남농업기술원에서 개인 비닐하우스에 투자해서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충남농업기술원 소유의 데이터 같은데,
 굳이 농가의 동의가 별도로 필요한 것인지는 모르겠어요. 
 개인정보같은 경우에는 그러한 정보로 개인의 신상이나 특징을 특정할 수 있기에 그것을 보호하기 위함이지만,
 비닗하우스 데이터는 그것과는 좀 다른 성질이라고 판단되거든요. 
 4. 데이터 보유방법
 데이터는 서버나 클라우드에 보관하나요? 농가의 개인 컴퓨터에 보관하나요?
 5. 데이터 품질관리방법
 데이터의 품질은 어떻게 관리하나요?
 6.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와 시스템의 정보 공유 문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의 정보(모델명,제조사)와 시스템의 정보는 공유가 가능할 것 같아요.
 7. 센서와 시스템의 유지관리 방법
 수집하는 센서와 시스템의 유지관리가 중요한 것 같아요. 어떻게 하시는지 노하우가 궁금해요.

쓰고 보니, 영농상담이라기 보다는 무슨 기업체 메일 같은데요. 
데이터를 활용하는 시대로 농업이 옮겨 가는 것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항상 웃는 하루 보내세요.

p.s. 작년 말쯤에 농가의 토양센서 관련 데이터에 문의드렸는데요. 토양관련 센서의 문제가 아니라 식물의 뿌리나 토양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고 지금은 생각하고 있어요.
올해까지 센서를 지켜보니, 센서에 특이한 값이 도출되면, 이에 맞추어 농가에서 토양에 무엇인가를 했더라구요.
그리고 토양쪽이 잘 관리되는 농가는 토양센서의 변화가 거의 없고, 토양쪽 관리가 잘 안되면 토양센서에서 한번씩 튀는 값이 나오더라구요.
​다른 농업기관에도 문으했는데, 대부분 센서의 문제에 대해서 첫번째로 언급하시더라구요. 근데 요즘 센서는 잘만들어져서, 센서보다는 다른 부분에서 문제점을 찾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이전에서 저가제품을 사용해서 그렇거나, 센서에 문제가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적어도 제가 사용하는 제품은 그런 제품은 아니라서요. 그리고 꼭 고가의 유명한 제품만이 성능이 뛰어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번에 경험한 것 같습니다. 올해에도 많은 도움 기대할게요. 힘내세요.
 
답변
등록일
2021-06-23 10:25:47
작성자
스마트팜팀 박종원 [이메일 : jjong1park@korea.kr] [전화 : 041-635-6074]
안녕하십니까? 스마트농업팀에 박종원 입니다. 질문을 관련해서 답변드립니다.

 1. 농가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문의, 2. 충남농업기술원에서 수집하는 데이터 공유를 받기 위한 절차문의
  => 우선 관련해서 따로 절차는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습니다.
       저희 같은 경우 농가 생육이나 경영조사까지 포함되어 있다보니 농가의 개인정보가 많이 있어서
       저희가 농가의 사전 동의를 받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데이터는 환경기록만을 원하시고 있는거 같은데요~ 농가와 협의 후 공유해 드릴 방향으로 검토중입니다.

 3. 충남농업기술원이 투자해서 개인 농가에 설치한 데이터의 소유권 문의
   => 데이터의 경우 1차적으로 개인정보 동의서를 받아서 저희가 소유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이런 데이터를 제3자에게 공개하는 부분에서는 농가 선생님들 마다 생각하시는 기준들이 다르셔서
        기준이 없이 공개하는 부분에 좀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점 알려 드립니다.
        그리고 충남농업기술원에서 투자하는 부분은 생육이나 환경 데이터 수집에 필요한 인력 운영 정도 이고
        데이터 자체는 농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서 수집되는 형태입니다.
        농가에 따로 투자한다기 보다는 농가의 데이터를 기술원에서 수집한다고 보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4. 데이터 보유방법
    => 데이터의 경우 기술원내 서버를 마련해 두고 저장 하고 있고,
         2차적으로 농촌진흥청 "스마트팜 최적환경설정 안내서비스" 를 위한 플랫폼을 개발 중에 있으며
         그곳에도 함께 저장 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플랫폼의 경우 전국 데이터를 볼 수 있는데요... 올 전반기 개발되어 후반기에 오픈 예정에 있습니다.
         전국 데이터를 일부분 개방하여 농장별 비교를 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습니다. 

 5. 데이터 품질관리방법
     => 데이터 품질관리에 있어서 저희도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따로 저희가 센서를 설치한다거나 하는게 아니고 농가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다 보니
          농가에서 센서 관리를 해주시고 고장시 수리나 교환이 이루어져야 되는데 그런부분이 어려워
          데이터 결측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농가 선생님들과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여
          그런부분을 최소화 할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제약이 많은 편입니다.

 6.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와 시스템의 정보 공유 문의
     => 저희가 연구용으로 쓰는 장비는 몇가지 알려 드릴 수 있지만
          시험연구용이다보니 데이터 정밀도나 정확도는 좋지만 그만큼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알려 드린다면 STA corporation, 테스토, METER ENVIRONMENT, HOBO 등이 있으나
          농가에서 사용하기엔 과하다고 생각됩니다.

 7. 센서와 시스템의 유지관리 방법
     => 센서와 시스템의 유지관리는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방법밖에 없긴 합니다.
          온도 센서같은경우는 고장날 경우가 잘 없지만 습도나, EC, pH 관련 센서는 잘 고장나거나 하는 편입니다.
          간이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오차나 이상치를 조기에 발견하고 교환이나 보정을 하는 정도 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농가가 그런 센서 데이터에 얼마나 관심이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상 답변 드렸습니다.
추가적으로 더 자세한 내용은 전화(041-635-6073)으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데이터 공유관련해서도 상의 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아니면 연락처 남겨 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만족도
7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