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1. 소통광장
  2. 영농상담
  • 인쇄
영농상담
홈소통광장영농상담
소통광장

영농상담

제목
반촉성육보 보온시기에 대한 문의 처리완료
분류
딸기
조회
8816
작성자
김*
작성일
2006-12-03 21:21 (수정일: 2006-12-03 21:22)
이곳은 충남 홍성입니다. 올해의 경우 저희 농장은 10월 8일 반촉성 육보를 정식하였습니다. 하우스안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나름대로 최고/최저온도를 채크하고 있으나 귀 시험장에서는 올해의 경우 반촉성육보의 보온개시기를 언제쯤으로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지역과 생육상태, 재배조건에 따라 각기 다를 것이나 대체적인 판단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또한 휴면시간의 산정기준도 알고 싶습니다. 보통 영상5도이하에 노출된 시간을 누적하는 것이라고들 하나, 휴면노출강도(예를 들어 영하5도이하 등)에 따라 휴면산정기준이 달라지는지요? 관련 시험연구결과가 있으면 첨부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되겠으나, 만일 어려우시면 개재된 보고서명이라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등록일
2006-12-04 00:00:00 (수정일 : 2006-12-04 00:00:00)
작성자
장원석 [이메일 : bananak@empal.com]
올해보온시기는 5~10일로 보고 있습니다. 오늘까지 5도이하 278시간입니다. 육보의 경우 휴면시간을 300시간~350시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기간내에만 한다면 무리가 없이 재배가 된다는 것이죠. 휴면에 들어가는 온도는 12도 에서도 휴면효과가 있습니다. 일단 해길이가 짧아지면 휴면감응을 한다고 봐야겠지요. 5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사실상 어떤 기준을 제시한 것입니다. 기준이 없다면 측정치가 서로 달라질 수 있지요. 최고/최저온도계로는 측정할 수가 없습니다. 아직까지 실험보고서는 없습니다. 일본 연구서를 참고하여 국내에서도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휴면관계는 워낙 오래된 거라 저도 그런 내용을 본지 오래전입니다. 국내에서 최근 시험은 저온기간중 고온을 받으면 저온효과가 상쇄되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반촉성에서는 하우스 비닐이 벗겨져있는 상태가 더 좋은 이유입니다. 특별히 몇도의 고온이 얼마의 저온을 상쇄하는지는 모릅니다. 궁금하시면 배재대학교 김운섭 박사학위논문을 참고해 보십시요
답변
등록일
2006-12-05 14:50:00 (수정일 : 2006-12-05 14:50:00)
작성자
김선 [이메일 : kimsun4219@hanmail.net]
보내주신 답변 잘 보았습니다. 추가질문은 1) 11월5일 현재 278시간이라는 값이 어떻게 도출된 것입니까? 계산법을 알고 싶습니다. 2) 고온으로 인한 휴면기간 상쇄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십시오. 체내 생장호르몬 함량의 감소 또는 활성저해를 말씀하시는지요? 3) 휴면기간이 다소 부족한 상태에서 보온에 들어가려 합니다. 대신 전조/GA처리로 초장/엽면적을 확보하려 합니다. 어떤 문제점이 있을지요? 가령 왜화현상은 방지할수 있으나 화방숫자가 적어진다던지... 알려주신 배제대학 김박사의 연구논문은 수일내로 살펴보겠습니다. 조언 감사했습니다.
답변
등록일
2006-12-06 16:48:00 (수정일 : 2006-12-06 16:48:00)
작성자
장원석 [이메일 : bananak@empal.com]
1. 5도 이하 시간 적산 2. 하루중 5도이하가 15시간이었는데 주간온도가 30도와 20도 하우스가 있었다면 30도 하우스가 저온효과(휴면타파)가 20도 하우스보다 적다 3. 가능합니다. 그러나 적정보온시기의 5일 내외 입니다.그이상으로 앞당기면 왜화를 방지하기가 어렵습니다. 겨울 날씨가 정상적이던 3년전 쯤 온도를 기준으로 할때 육보의 경우 11월 27일 정도이고 보온적정시기는 12월 5일입니다. 올해는 겨울이 따뜻해 보온시기는 12월 10일 안밖이 될거 같습니다.
만족도
7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