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알림마당

새소식

제목
화상병 100건 넘었는데…대책은 ‘하세월’
분류
농업뉴스
조회
1674
작성자
김현미
작성일
2019-06-28 18:33

화상병 100건 넘었는데…대책은 ‘하세월’


지난해 발생건수 이미 초과
피해 대부분 충북지역에 집중 올해 손실보상금 ‘눈덩이’ 전망
농진청은 확산 방지책 못 찾고 매몰범위 등 재검토만 진행
연구시설 건립 예산도 미확보 내년 착공해도 3년 이상 걸려
전문가 “무병징 기주 시료로 병원균 살피고 대책 수립을”


올해 과수 화상병 발생건수가 100건을 넘어섰다. 아직 6월인데도 화상병이 처음 발생한 2015년 이후 피해규모가 가장 크다. 지난해까지 공적방제비만 367억원 투입했으나 병은 오히려 더 퍼지는 양상이다. 농촌진흥청 등 방역당국은 병 확산을 막을 뾰족한 수를 못 찾고 있다. 전용 연구시설 건립 등 장기대책도 사실상 제자리걸음이다.
◆6월인데 벌써 100여건=농진청에 따르면 25일 기준 화상병 발생규모는 전국 5개 시·군 106농가 69.1㏊다. 지금까지 피해가 가장 컸던 지난해의 67건(48.2㏊)을 이미 넘어섰다.
특히 발생건수의 약 86%가 충북에 집중됐다. 충주 48농가(31.7㏊)와 제천 38농가(28.3㏊)가 피해를 봤고, 올해 화상병이 처음 발생한 음성에서도 5농가(2.1㏊)가 폐원했다. 화상병은 보통 8월초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건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화상병이 발생한 과원의 나무는 모두 베어 땅에 묻는다. 당연히 이같은 공적방제에 투입되는 손실보상금 규모도 해마다 늘고 있다. 2015년 약 87억원이던 손실보상금은 피해가 가장 컸던 지난해엔 205억원으로 늘었다. 2015~2018년 누적 손실보상금만 약 367억원이다. 올해 농진청은 손실보상금 예산으로 95억원을 책정했는데, 현재 피해규모로는 이미 턱없이 모자라는 상황이 됐다.
◆장단기 대책 제자리걸음=화상병 확산세가 예사롭지 않고 방제비용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지만, 농진청은 우선은 현행 방제체제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병 확산을 막을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해서다. 관련 전문가 회의를 통해 매몰범위와 손실보상금 등을 재검토만 하고 있다.
화상병의 확산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한 대책도 여전히 ‘준비’단계에 머무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가장 시급한 것으로 차폐연구시설을 꼽는다(본지 6월17일 16면 보도). 농진청도 외부와 차단된 전용시설이 없어서 병원균 확산경로, 월동 여부, 약제효과 등을 연구하지 못한다는 얘기를 되풀이해왔다.
하지만 시설의 필요성을 절감해 지난해 사업에 착수했음에도 정작 시설 건립에 드는 예산 250억원을 확보하는 데는 실패했다. 올해 예산의 일부인 60억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지만 기획재정부·국회 승인 등의 절차가 남았다. 내년에 착공한다 해도 완공까지는 3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병 증상이 없는 나무(무병징 기주)의 시료를 채취해 병원균 감염 여부를 살피는 방식을 대책으로 제안하기도 한다. 병원균이 어디까지 확산돼 잠복해 있는지 살필 수 있어서다. 지난해 농진청 용역으로 수행된 ‘과수 화상병 외국사례 분석을 통한 예찰방제사업 방향설정’ 보고서에는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이 무병징 기주에서 시료를 채취해 사전 대책을 세운 사례도 올라 있다.
오창식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교수는 “국내 기술로도 아주 적은 수(1000마리)의 병원균을 찾아낼 수는 있지만 이를 배양·분리해 확진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며 “이 연구가 이뤄져야 EU 국가들처럼 무병징 기주에서도 병원균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농민신문   김해대 기자

만족도
7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