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면적 및 농가수 | 고추 | 토마토 | 방울토마토 | 오이 | 상추 | 기타채소 | 장미 | 화훼류 | 계 |
---|---|---|---|---|---|---|---|---|---|
면적(ha) | 24.9 | 75.2 | 46.0 | 36.4 | 15.8 | 15.3 | 56.7 | 4.8 | 275.1 |
농가수(호) | 94 | 265 | 154 | 154 | 77 | 66 | 136 | 22 | 968 |
* 배지 종류별 양액재배 현황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면적 및 농가수 | Perlite | 암면 | NFT | 혼합배지 | 사경,역경 | 수기경 | 기타 | 계 |
---|---|---|---|---|---|---|---|---|
면적(ha) | 118.3 | 84.5 | 11.5 | 21.4 | 1.8 | 16.3 | 21.2 | 275.1 |
농가수(호) | 457 | 233 | 71 | 76 | 12 | 65 | 54 | 968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비고형배지 | 담액식수경(deep flow culture), 박막수경(nutritional film technigue), 분무수경(aeroculture, aeroponics) |
---|---|
고형배지경 | 사경, 역경, 암면, perlite,cownut, 기타재배(훈탄,왕겨, 톱밥, 혼합) |
특수수경 | 식물공장, 우주공간재배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Element | Maize shoot (% of dry weight) |
Maixe leaf (% of dry weight) |
---|---|---|
Oxygen | 44.4 | - |
Carbon | 43.6 | - |
Hydrogen | 6.2 | - |
Nitrogen | 1.5 | 3.2 |
Potasssium | 0.92 | 2.1 |
Phosphorus | 0.20 | 0.31 |
Sulfur | 0.17 | 0.17 |
Calcium | 0.23 | 0.52 |
Magnesium | 0.18 | 0.32 |
Chlorine | 0.14 | - |
Silicon | 1.2 | - |
Sodium | - | - |
Iron | 0.08 | 0.012 |
Manganese | 0.04 | 0.009 |
Copper | - | 0.0009 |
Boron | - | 0.0016 |
Molybdenum | - | - |
Zinc | - | 0.003 |
Aluminum | 0.89 | - |
Undetermined | 7.8 | -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산화환원작용 |
---|---|
흡 수 |
- 토양중에서 NO3-또는 NH4+의 형태로 뿌리를 통해 흡수된다. ※뿌리에 흡수된 NH4+는 전부 뿌리에서 amino acid로 동화되어 재분포되므로 체내에서는 거의 NO3-와 amid 또는 amino acid의 형태로 이동된다. |
결 핍 |
- 건물중의 3% 미만일 때 질소결핍현상이 나타남. - 질소가 부족하면 생장이 빈약하여 식물체가 작다. - 개화와 착화가 불량, 단백질 함량이 낮다. - 늙은 잎에서 증상 선 출현(질소가 부족하면 늙은 잎에서 어린 잎으로 재전류가 일어나므로 늙은 잎 끝에서 황화가 일어나 괴사함. - root/shoot 비 증가 |
유사증상 |
- K, Mg 부족 → 늙은 잎에서 황화가 나타나지만 시기적으로 질소 결핍보다 빠르게 나타남. - K 부족→ 잎가장자리가 괴사하거나 백색 반점이 출현 |
과 잉 |
- 질소과다 증상은 건물중의 6%이상 함유될 때 나타남. 잎이 암녹색을 띔. - 성숙이 지연 - 조직이 연해서 바람들이 피해가 증가됨. - 조직이 연해서 저장성과 가공성이 떨어짐.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성숙과 꽃눈의 분화. 초기 뿌리 생장 촉진. 세포 분열 촉진 |
---|---|
흡 수 |
H2PO4-나 HPO4--로 흡수가 일어나나 H2PO4-의 흡수를 선호한다. ※ 이들의 존재는 토양 pH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pH7이하에서는 H2PO4-가 pH7이상에서는 HPO4--가 많게 된다. |
결 핍 |
- 건물중의 0.3% 이하이면 결핍증상이 나타남. - 식물체내에서 재분배가 쉽게 일어나 오래된 잎에서 꽃이나 종자로 쉽게 이동됨. - 뿌리 발육과 출수가 불량. - 개화, 성숙이 지연. - 아마이트가 많아져 단백질 합성이 지연 - 늙은 잎에 엽록소가 많이 집적되어 암녹색이 됨. - 안토시아닌의 집적으로 잎, 줄기가 붉은색을 띔. - 심하면 잎이 오글거리는 백화현상(chlorosis)이 나타나다가 고사함. |
과 잉 |
- 건물중의 1%이상이면 과다 증상이 출현. - 과잉중이 잘 나타나지 않음. - 뿌리 생장이 촉진(N과 반대현상). - 과다시 K, Fe, Zn, Cu와 길항작용 * pH 6∼7에서 최적 - 강산성에서 Fe, Al과 침전됨 - 알칼리성에서는 Ca와 침전됨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 기공개폐 - 삼투압 조절 - 광합성 증대 및 전류 촉진 - 녹말과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 |
---|---|
흡 수 | K+ |
결 핍 |
- 결핍농도는 건물주의 2.5% 이하 - 선단의 잎이 약간 위축되고 엽연부분이 황화 - 탄수화물 합성이 부족하게 됨. - 아마니트태가 많아 채소의 맛과 저장성 저하 - 팽압이 낮아지고 증산과 호흡이 빨라짐 → 서리와 가뭄에 약함. |
과 잉 |
- 과잉증은 건물중의 6%이상 일 때 출현 - 과실의 경우 착색불량 - 단맛이 떨어지고 표면이 거칠다. - N, Ca, Mg 등의 양이온 흡수를 방해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세포벽, 원형질막 구성성분 |
---|---|
흡 수 | Ca++ |
결 핍 |
- 결핍농도는 1% 이하 - 생장점 생육 불량 - 꽃가루 발아 장해 - 토마토, 피망 배꼽썩음병 - 상추, 샐러리, 양배추, 배추등의 속 썩음병 - 체내 이동이 잘 안됨 → 잎의 선단 부분 황백화된 후 갈변하여 고사 |
과 잉 |
- 엽맥간 색이 옅어짐. - 심하면 갈색반점이 생김.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엽록소, 글루타민 합성 효소 |
---|---|
흡 수 | Mg++ |
결 핍 |
- 결핍농도는 건물주의 0.2% 이하이다. - 늙은 잎의 엽맥 사이에 황화 현상 - 탄수화물 감소, 아마이트 증가 |
과 잉 |
- 과잉농도는 건물주의 2%이상 - 엽맥간 색이 옅어짐. - 심하면 갈색 반점이 생김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단백질, 비타민, 향기, 매운맛 성분. |
---|---|
흡 수 | SO4-- |
결 핍 |
- 결핍종도는 건물중의 0.2% 이하이다 - 체내에서 재분배가 되지 않음 → 어린 잎에서부터 증상 출현 - 단백질의 합성이 저하되고 비단백질 화합물의 증가 - 세포벽이 두꺼워지고 매운 맛 감소 - 엽맥색이 엽신보다 밝음 - 잎이 가늘고 생장 저하 |
과 잉 | 과잉증은 거의 나타나지 않음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광합성, 호흡, 단백질 합성, 각종 효소 작용 |
---|---|
흡 수 | Fe++, Fe+++(철은 뿌리에 존재하는 3가철 환원효소에 의해 Fe+++이 Fe++로 환원된 다음 흡수된다. 따라서 Fe+++보다는 Fe++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
결 핍 |
- 결핍 농도는 건물주의 50∼1,000ppm 이하. - 어린잎에 나타남. - 엽맥은 녹색, 엽맥사이는 황화 - 양액이 알칼리화 되거나 수온이 낮을 때 발생 - Mg과 같이 황화현상이 나타남. |
과 잉 | 인산의 이동을 방해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 산화환원작용 (Mn++ ↔ Mn+++)을 통해 효소의 활성화에 관여. 이들 효소를 통해 탄소 동화 작용. - 단백질 대사 - 비타민 C 합성 |
---|---|
흡 수 |
Mn++ * 중금속인 Mn은 2, 3, 4 가로 존재하는데, 2가 이온만이 유용하다 |
결 핍 |
- 결핍농도는 건물중의 40ppm 이하 - Mg처럼 엽맥간에 황화 - 쌍떡잎 식물 잎에 작은 황색 반점. |
과 잉 |
- 과잉농도는 500∼1,000ppm - 늙은 잎에 갈색 반점 - 엽록소 분포가 불균일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트립토판 합성, 탄소동화 작용 (탈수소 효소의 활성) |
---|---|
흡 수 | Zn++(무기이온의 형태보다는 유기물에 결합되어 흡수된다.) |
결 핍 |
- 건물중 농도 30ppm이하 - 잎이 작고 가늘다. - 녹색부분과 황화된 부분이 뚜렷한 경계를 보이는 황백화 현상 - 토마토 뿌리털 생장 불량 - 체내 옥신이 생성이 안되어 줄기의 신장이 좋지 않다. |
과 잉 |
- 과잉농도 200∼400ppm - 잘 일어나지 않음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산화, 환원 효소의 활성 - 광합성의 전달전달계에 관여 |
---|---|
흡 수 | Cu++ |
결 핍 |
- 결핍농도는 건물중의 7ppm - 잎이 농녹색이며 비틀림 |
과 잉 |
- 과잉농도는 100ppm - 뿌리에 집적되어 뿌리가 뭉뚱하고 짧아짐.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 철의 흡수와 전이를 돕는다. - 질소사(NO3-를 NO2-로 환원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nitdate reductase의 구성성분으로의 작용) |
---|---|
흡 수 | MoO4-- |
결 핍 |
- 결핍농도(건물중) 0.3ppm 이하 - 엽연의 황화 - 잎의 기형화 - 개화결실 불량 - 부족시 질산태 집적 |
과 잉 | - 과잉농도는 건물중의 10ppm 이상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 당의 전이 - 생장조절제 합성 - 화분관의 신장 |
---|---|
흡 수 | BO3--- |
결 핍 |
- 결핍농도(건물중) 5∼30ppm 이하 - 황화된 후 괴사 - 생장점 괴사 - 줄기, 뿌리의 공동화 |
과 잉 |
- 과잉종도(건물중) 50∼300ppm 이상 - 잎에 갈색반점 - 잎이 안쪽으로 말림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 능 |
- 광합성에서 H2O의 분해 촉진 - 친수성이 높아서 식물의 삼투압을 높이고 증산을 억제 |
---|---|
흡 수 | Cl- |
결 핍 | - 결핍농도(건물중) 100ppm 이하 - 어린 잎의 황화 - 식물 전체 위조 - 생장점과 뿌리의 생장 저하 |
과 잉 |
- 과잉농도(건물중) 350ppm -뿌리가 상함 → 물질의 흡수 저해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Pre fix | Symbol | Power |
---|---|---|
tetra | T | 1012 |
giga | G | 109 |
mega | M | 106 |
kilo | K | 103 |
hecto | h | 102 |
deka | da | 101 |
deci | d | 10-1 |
centi | c | 10-2 |
milli | m | 10-3 |
micro | u | 10 -6 |
pico | p | 10-12 |
fento | f | 10-15 |
atto | a | 10-18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전기전도도(mmho/㎝) | 식물의 생육상 |
---|---|
0 ∼ 2 | 모든 식물이 생육가능 |
2 ∼ 4 | 염분에 예민한 식물은 생육불량 |
4 ∼ 8 | 내염성 식물만 생육가능 |
8 ∼ 16 | 대부분 작물이 생육불량 |
16 ∼ | 생육불량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지 역 | EC(ms/cm) | pH | 질소를 뺀 총염류함량 |
---|---|---|---|
유 럽 | 0.3이하 | 5∼6.5 | 450ppm |
일 본 | 0.02∼0.04 이하 | 6.3∼7.0 | 520ppm이하 |
* NO3-N은 60ppm이하(일본)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항목 | 단위 | 식물의 내염성 | |||
---|---|---|---|---|---|
매우약함 | 약함 | 중간 | 강함 | ||
EC | ㎲/㎝ | 400 | 800 | 1,000 | 1,500 |
삼투압 | bar | 0.15 | 0.3 | 0.4 | 0.6 |
총염류량 | ㎎/ℓ | 250 | 500 | 750 | 1,000 |
Cl | ㎎/ℓ | 50 | 100 | 200 | 300 |
SO4 | ㎎/ℓ | 100 | 200 | 250 | 300 |
Na | ㎎/ℓ | 50 | 100 | 150 | 150 |
경도 | 2 | 4 | 7 | 11 | |
Ca | 1 | 3 | 5 | 9 | |
Fe | ㎎/ℓ | 1 | |||
B | ㎎/ℓ | 0.5 |
* Z 1me/ℓ는 28㎎ CaO/ℓ에 해당됨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종 류 | 유효 pH |
---|---|
Nitrilotriacetic acid (NTA) | 1∼3 |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 1∼6 |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DTPA) | 2∼7 |
Ethylene-diamine-dihydroxyphenyl-acetic acid (EDDPA) | 2∼9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화학식 | 분자량 | 용해도(g/L) |
---|---|---|
KNO3 | 101 | 334 |
KH2PO4 | 136.1 | 330 |
MgSO4·7H2O | 246.5 | 720 |
Ca(NO3)2·4H2O | 236 | 극대 |
CaCl2·6H2O | 219 | 극대 |
K2SO4 | 174.3 | 118 |
NH4H2PO4 | 115 | 330 |
NH4NO3 | 80.1 | 902 |
(NH4)2SO4 | 132.1 | 531 |
NaH2PO4 | 120 | 극대 |
Fe-EDTA | 382.1 | - |
H3BO3 | 61.8 | 51 |
MnSO4·4H2O | 23.1 | 720 |
MnCl2·4H2O | 197.9 | 632 |
ZnCl2 | 136.3 | 1280 |
ZnSO4·7H2O | 287.6 | 546 |
(NH4)2MoO4 | 196 | - |
CuSO4·5H2O | 250 | - |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온도(℃) | mL/L | ppm |
---|---|---|
1 | 9.96 | 14.2 |
5 | 8.96 | 12.8 |
10 | 7.91 | 11.3 |
15 | 7.11 | 10.2 |
20 | 6.42 | 9.2 |
25 | 5.86 | 8.4 |
30 | 5.34 | 7.6 |
35 | 4.83 | 6.7 |
* 1ppm은 약 0.7mL/L에 해당
아래 표는 좌우로 슬라이드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용 존 산 소 량 | 식 물 반 응 |
---|---|
5.3 ppm 이하 | 측근 발생이 억제 |
1.5 ppm 이하 | 호흡 속도 감소 |
0.5 ppm 이하 | 생장 정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