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알림마당

새소식

제목
브루셀라 백신접종 검토
분류
농업뉴스
조회
1139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5-12 09:36 (수정일: 2005-05-12 09:36)
 

살처분땐 한우 사육기반 위축 불가피

브루셀라에 감염된 소에 대해 살처분 정책을 고수해온 농림부가 예방백신 접종으로 방향 선회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또 병에 걸린 소도 감염 부위를 떼어내고 식용화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농림부는 올해 들어서도 소 브루셀라 감염률이 계속 증가해 살처분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경우 한우 사육기반이 위축되는 등 문제가 확산될 수 있다고 보고, 오는 6월 중 학계전문가와 일선 방역담당 공무원, 생산자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축방역협의회를 열고 예방백신 접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현재 제주와 강원을 제외한 대다수 지자체에서는 제한적인 예방접종을 희망하고 있으며 수의학 전문가들도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어 협의회에서 현행 살처분 정책을 유지하자는 의견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림부는 특히 살처분 보상금이 올 1·4분기 동안에만 284억원이 소요되는 등 앞으로 감염 소가 늘어날 경우 추가예산 확보가 쉽지 않다는 점과 살처분 정책을 지속하는 것이 한우 사육기반에 영향을 주고 매몰지 확보도 어렵다는 점을 들어 이미 내부적으로 예방백신 접종 시행방안을 마련한 상태다. 이 방안에는 백신 종류와 접종대상·횟수·방법을 비롯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백신 수입허가 조치를 내리도록 한다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부는 지난 1998년 젖소(제주도는 한·육우 포함)를 대상으로 브루셀라 예방백신 접종에 나섰으나 백신을 맞은 소 3만여마리가 유·사산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 접종을 돌연 중단했었다.

또 2003년에도 전북 정읍지역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추진키로 했다가 백신의 면역효과가 낮고 임신 소의 안전성 검증이 안됐다는 반대 여론에 휘말려 접종 계획을 유보한 후 현재까지 브루셀라 감염률이 5%를 넘지 않을 경우 감염소를 살처분한다는 정책을 유지해오고 있다.

농림부는 또 국제수역사무국(OIE)과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등 국제기구에서 소가 브루셀라에 감염됐어도 유방·생식기 등 감염부위를 제거하면 식용을 허용한다는 점에 주목, 식용화 추진을 위한 정밀검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검사결과 안전성이 확보된 근거자료가 나오면 소비자단체·한우협회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갖고 식용문제를 공론화한다는 방침이다.
 
 
〈김광동〉kimgd@nongmin.com
만족도
8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