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알림마당

새소식

제목
“가축 밀집 사육환경 개선…동물약품 적정량 사용해야”
분류
농업뉴스
조회
551
작성자
김현미
작성일
2018-02-19 13:31

“가축 밀집 사육환경 개선…동물약품 적정량 사용해야”

 

[2018 신년기획] 선진축산의 길, 이것만은 해결하자 (5)·끝 축산물 안전성

소비자 10명 중 7명 “비싸도 안전한 축산물 선호”
효율성만 앞세운 사육방식, 먹거리 불안감 불러와
농가 대상 올바른 동물약품 사용법 교육·홍보 필요


“조금 더 비싸더라도 이왕이면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식품을 구매합니다. 아이들도 먹는 건데 안전성이 의심되면 왠지 꺼림칙하잖아요.”
서울의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코너에서 만난 이혜민씨(31)는 축산물을 비롯한 식품을 살 때 안전성을 최우선순위로 놓고 따진다며 이같이 말했다.
비단 이씨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제 소비자들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축산물에 눈길을 주지 않는다. 가격만을 무기로 내세운 축산물은 더이상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 어려워진 것이다. 그동안 생산성을 높이는 데만 몰두해온 국내 축산농가들에게 안전성이라는 새로운 숙제가 주어진 셈이다. 소비자로부터 신뢰받는 선진축산으로 도약하려면 안전성 문제는 반드시 극복해야 할 과제다.

◆떠오른 축산물 안전성 문제=2017년 8월 전국을 강타한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 사태는 사람들이 먹거리 전반에 불안감을 느끼는 ‘먹거리포비아’를 확산시켰다. 당시 많은 소비자들은 달걀뿐만이 아니라 닭고기·쇠고기·돼지고기 등 대부분 축산물에 불안감을 느꼈다. 그러면서 안전성은 소비자들이 축산물을 살 때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다.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은 이같은 사실을 잘 보여준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최근 소비자 5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2017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격이 비싸더라도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자가 7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전한 축산물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바람과 달리 우리 축산업은 아직까지 축산물 안전성을 완벽하게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축산농가들이 생산한 축산물에서 항생제·살충제·호르몬제 성분이 여전히 정부가 정한 잔류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고 있어서다. 소비자들의 우려가 계속될 수밖에 없는 우리 축산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효율만 좇는 사육방식=안전성 문제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생산성 증대와 비용 절감에만 몰두하는 사육방식에 있다.

축산물에서 항생제가 잔류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된 것은 생산비를 낮추려는 농가들이 가축에게 과도한 양의 항생제를 투여하면서 나타난 문제다. 항생제를 먹이면 성장이 빨라지고, 사육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농가들이 남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항생제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6년 우리나라 축산업분야 항생제 사용량은 730t이다. 국내 축산물 생산량이 461만t정도라는 것을 감안하면 축산물 1t을 생산하는 데 항생제 0.158㎏을 이용하는 셈이다. 이는 항생제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축산선진국들의 행보와 차이를 보이는 수치다.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 사태 역시 산란계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닭진드기를 잡겠다고 농가들이 허가되지 않은 살충제를 뿌린 게 화근이었다. 살충제를 뿌리고서 일정기간이 지나고 산란계를 입식해야 한다는 방제수칙은 좀더 빨리 달걀을 팔아 수익을 내겠다는 농가의 욕심 탓에 지켜지지 않았다.
일부 호르몬제는 아직까지 그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끝나지 않았지만 생산성을 높인다는 이유로 농가들 사이에서 암암리에 사용되고 있다. ‘락토파민’ 같은 호르몬제의 경우 국내 잔류허용치가 0.01㎎/㎏으로 정해져 있지만 유럽연합(EU) 등은 사용을 자제하고 있다.
농가들의 항생제·살충제·호르몬제 같은 약품 사용이 계속될수록 소비자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효율성만 좇는 농가들의 가축 사육방식이 국내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불신의 골을 더 깊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축산물 안전성 높이려면=전문가들은 올바른 동물약품 사용법에 대한 교육·홍보를 통해 농가의 안전한 축산물 생산 의지를 높여야 한다고 말한다.
김현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생산비를 줄이겠다고 동물약품을 남용하면 소비자들의 국내 축산물 소비 자체가 줄어 산업 전체에 큰 손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사실을 농가들이 충분히 인지하고, 적정 휴약기간과 사용량을 따를 수 있도록 철저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물약품분야에서도 의약분업제 실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최근 수의사 처방을 받아야 하는 동물용 항생제를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김성진 대한동물약국협회장은 “단순히 수의사 처방 대상 약품을 늘린다고 해서 해결되긴 어렵다”며 “의약분업을 통해 약품 구매창구를 약국으로 단일화해야 항생제 남용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엔 사육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비좁은 사육환경이 가축의 질병 저항성을 떨어뜨리며, 닭의 경우 진드기 같은 해충에 취약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육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지금의 밀집 사육환경이 바뀌면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가 줄어 동물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성장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사육환경을 개선하면 항생제의 필요성은 그만큼 줄어든다”며 “동물복지형 축산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만큼 생산자들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 농민신문   최정균 기자 

만족도
80.0%
고객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