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광도와 CO2 변화에 따른 국화의 광합성과 호흡반응
분류
분류없음
조회
5320
작성자
이병주
작성일
2004-12-29 09:50 (수정일: 2004-12-29 09:50)
초 록. 본 연구는 광도와 CO2 변화에 따른 국화의 광합성과 호흡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국화 ‘퓨마’의 광포화점은 Epipremnum aureum 보다 높았으나, Zea mays 보다는 낮았고, 광보상점은 66 μmol·m-2·s-1로 Zea mays와 Epipremnum aureum의 40과 32 μmol·m-2·s-1과 비교하여 높았는데 이는 저광도하에서 광합성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준다. 광보상점은 각각 30, 66, 91, 110 μmol·m-2·s-1 등으로 100, 400, 700, 1000 μmol·mol-1 CO2 농도하에서 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광포화점까지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서는 상대적으로 일정하였다. 광포화점은 100, 400, 700, 1000 μmol·mol-1 CO2 농도 수준에서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300, 800, 900, 950 μmol·m-2·s-1 등으로 증가하였고, 이 때의 광합성 속도는 각각 3, 9, 12.5, 15 μmol CO2·m-2·s-1 등으로 조사되었다. CO2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CO2포화점도 400, 700, 1000 μmol·m-2·s-1 광도수준에서 각각 700, 1100, 1200 μmol·mol-1로 증가하였다. 암호흡은 0과 1600 μmol·mol-1 범위에서 CO2가 증가함에 따라 이차함수식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적절한 광도가 없는 상태에서의 CO2 시용이 식물의 호흡을 증가시켜,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